본문 바로가기
생활백과이야기

공리주의 (Utilitarianism)중요한 이슈, 공리주의 윤리적 논쟁과 비판에 대한 이야기

by pinkfork 2023. 9. 21.
반응형

공리주의(Utilitarianism)는 윤리학의 한 분야로, 행동의 윤리적 가치를 그 행동이 초래하는 결과에 따라 판단하는 원칙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윤리적 관점은 행동의 결과가 가장 큰 행복을 가져온다면 그 행동이 윤리적으로 옳다고 주장합니다.
공리주의는 행동의 결과를 최대한의 행복과 최소한의 고통으로 측정하며, 이를 통해 윤리적 판단을 내립니다.

공리주의는 18세기 영국의 학자 제레미 벤텀(Jeremy Bentham)과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벤텀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원칙을 제시하며 윤리적 판단의 기준으로 행복을 내놓았습니다.
밀은 이 원칙을 발전시켜 "품질의 다양성"을 강조하였습니다.

공리주의
공리주의


주요 원칙과 관련된 개념

1)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The Greatest Happiness Principle)
    가장 윤리적으로 옳은 행동은 최대한 많은 사람에게 최대한 큰 행복을 가져다주는 행동이다는 원칙입니다.
2) 품질의 다양성 (The Diversity of Quality)
    밀은 단순히 행복의 양뿐 아니라 행복의 질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행복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윤리적 판단을 내리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자본주의와 관계

공리주의와 자본주의는 서로 독립적인 학문이지만, 경제와 사회정책 분야에서 상호작용합니다.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은 리더십과 기업의 행동을 결정할 때 윤리적 원칙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공리주의적 원칙과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고용 정책, 환경 보호, 소비자 보호 등의 사회정책을 결정할 때, 이러한 정책이 가장 많은 사람에게 최대한 큰 행복을 가져다줄 것인지를 평가하는 데에 공리주의적 원칙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주장하는 학자와 이론

1) 제레미 벤텀(Jeremy Bentham)
    공리주의를 초기에 개발한 학자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원칙을 제시하였습니다.
    벤텀은 행복과 고통을 계량화하려는 시도를 하였고, 이를 통해 행동의 윤리적 가치를 측정하려고 했습니다.
2)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
    밀은 공리주의를 개선하고 발전시켰으며, 품질의 다양성과 개인의 행복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그는 민주주의와 개인의 자유를 지지하면서도 윤리적 가치를 강조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3) 피터 싱어 (Peter Singer)
    동물의 권리나 글로벌 빈곤 문제에서 공리주의를 적용해 논쟁을 일으켰습니다.

중요한 개념

1)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The Greatest Happiness Principle)
    이 개념은 공리주의의 핵심 원칙으로, 윤리적으로 옳은 행동은 최대한 많은 사람에게 최대한 큰 행복을 가져다주는 행동이라는 원칙입니다. 행복은 공리주의에서 양적인 측면에서 측정됩니다.
2) 품질의 다양성 (The Diversity of Quality)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은 행복의 양뿐 아니라 행복의 질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다양한 형태의 행복과 개인의 개별적인 가치를 중시하는 개념입니다.
3) 최선의 결과 (The Principle of the Best Consequences)
    공리주의는 행동의 결과가 어떤 결과가 최선인지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행동이 최선의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 그것이 윤리적으로 옳다고 여겨집니다.

공리주의
공리주의

중요한 이슈

1) 윤리적 계산의 어려움
    공리주의는 종종 행동의 결과를 계산하고 비교하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습니다.
    행복과 고통을 양적, 질적으로 어떻게 측정하고 비교할지에 대한 문제가 있습니다.
2) 소수자의 보호
    공리주의는 종종 다수의 행복을 추구하면서 소수자나 취약 계층의 이익을 무시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습니다.
    소수자의 권리와 이익을 어떻게 보호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3) 행복의 지속 가능성
    단기적인 행복을 추구하는 공리주의가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환경 파괴나 자원 과소소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냉정한 계산의 비판
    공리주의는 종종 감정과 도덕적 가치를 무시하는 '냉정한 계산' 윤리학으로 비판됩니다.
    행동을 단순히 결과적으로만 판단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부적절하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5) 소수 의식주의
    공리주의는 기본적으로 궁극적 행복을 추구하는 것을 요구하므로, 추가적인 도덕적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는 주장이 나올 수 있으며, 이것이 소수 의식주의를 고려하지 않는 결과로 비판됩니다.


윤리적 논쟁과 비판

1) 행복 측정의 어려움
    공리주의는 행동의 윤리적 가치를 행복과 고통의 양으로 측정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행복과 고통은 주관적인 경험으로, 각 개인마다 다르게 느끼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행복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려는 시도는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2) 소수자의 보호 부족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강조하는데, 이로 인해 소수자의 이익을 무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칙 아래에서 소수자나 취약 계층의 권리나 이익을 무시하거나 희생시키는 것이 윤리적으로 옳다고 주장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3) 행복의 무한 경쟁
    공리주의에 따르면 계속해서 더 많은 행복을 추구해야 하므로, 끝없이 경쟁하고 소비하려는 문화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환경 파괴나 사회적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4) 윤리적 지속 가능성 부족
    공리주의는 단기적인 행복을 강조하며 장기적인 윤리적 지속 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윤리적으로 지속 가능한 행동과 사회적 가치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비판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5) '냉정한 계산' 문제
    공리주의는 종종 "냉정한 계산"의 윤리학으로 비판됩니다.
    이는 행동을 순전히 결과적으로만 판단하고, 감정이나 도덕적 가치를 무시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습니다.
6) 소수 의식주의(Supererogation)
    공리주의는 기본적으로 궁극적 행복을 추구하는 것을 요구합니다.
    이로 인해 추가적인 도덕적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는 주장이 나올 수 있으며, 이것이 소수 의식주의를 고려하지 않는 결과로 비판됩니다.
    소수 의식주의는 보통의 도덕적 의무 이상의 행동을 존중하는 논리를 나타냅니다.

공리주의는 여전히 많은 논의와 연구의 주제이며, 이러한 이슈들을 다루고 보완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윤리학에서 여러 다른 윤리적 이론과 비교하면서 공리주의의 장점과 단점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